1. 다운받을 경로만들기 및 이동
    # mkdir /usr/local/java
    # cd /usr/local/java

2. JDK 다운로드
    되도록이면 다운받아서 원하는 버전을 FTP로 올려서 쓰자

jdk-7u4-linux-x64.tar.gz 파일을 다운받았다는 가정하에 작성되었다.

3. 압축해제
    # gzip -d jdk-7u4-linux-x64.tar.gz
    # tar xvf jdk-7u4-linux-x64.tar

4. 링크만들기
    # ln -s jdk1.7.0_04 java

5. 환경변수설정
    # vi /etc/profile

아래의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
#JAVA JDK7
export JAVA_HOME=/usr/local/java
export PATH=$PATH:$JAVA_HOME/bin
export CLASSPATH=$JAVA_HOME/jre/lib/ext:$JAVA_HOME/lib/tools.jar
(vi 사용법 shift+i는 입력모드, 내용 입력 후 shift + : + wq(소문자) 입력 후 탈출)

6. 적용
    # source /etc/profile

7. 버젼 적용하기
    # 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usr/local/java/java/bin/java 2
    #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원하는 번호 선택 후 엔터

8. 확인
    # java -version

9. 톰캣 설치
    http://tomcat.apache.org 가서 다운로드
    다운로드 받은 폴더에서 압축해제
    # gzip -d apache-tomcat-7.0.27.tar.gz
    # tar xvf apache-tomcat-7.0.27.tar

10. 파일 이동
    # mv ./apache-tomcat-7.0.27 /usr/local/tomcat7

11. 환경변수 설정
    # vi /etc/profile

아래의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
#TOMCAT7
export CATALINA_HOME=/usr/local/tomcat7
export PATH=$PATH:$CATALINA_HOME/bin

12. 적용
    # source /etc/profile

13. 톰캣 시작
    # startup.sh 

    # shutdown.sh  (내릴때)


14. 호랭이 확인

http://ip:8080

로그 파일은 tomcat 폴더에 logs에 catalina.out에 적제된다.

tail -f catalina.out 하면된다.


Create Security Credentials(Access Key,Secret Key 생성)


AWS를 사용하려면 콘솔에 접속하는 계정과는 별도로 인증을 위한 Key가 존재한다.


이 Key는 S3, RDS, EC2등을 이용할때 아이디와 패스워드 처럼 사용된다. 이 키를 생성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Manager Console에 접속한다.  접속후 우측상단에 보면 본인 계정 명이 써있는 곳에 클릭을하면 아래와 같은 레이어가 열리는걸 확인 할 수 있다. 예상한대로 빨간색 표시된 부분 클릭




2. 다음의 그림과 같은 팝업창이 당신을 반길것이다. 역시나 빨간색 부분 클릭




3. 그림대로 한다



4. Access Keys를 펼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온다 키를 생성한 적이 없다면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 

    아래의 Create New Access Key를 눌러서 키를 생성한다. 

    키를 잘못 만들었다면 Actions 항목에서 Delete를 하면 아래의 그림처럼 삭제됨이라고 표시가되고 이력이 남는다.


※주의 아래의 Create New Access Key 버튼을 누르는 순간 키가 생성된다. 



5. Show Access Key를 눌러서 본인이 생성한 키를 볼수 있다. 

    Download Key File을 눌러서 다운로드해서 보관하는게 좋다. 

    이유는 Secret Key는 한번밖에 볼수가 없다. 

     즉 생성할떄 한번 보고나면 저장을 하지 않을경우 따로 다시 확인할 수 없는것이다.




6. 보안에 주의하여 잘 사용하도록 한다. 저장시 CSV 파일로 저장해 준다. 






AWS CLI(Amazon Command-Line) 환경설정


이 메뉴얼은 Windows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그지같은 AWS를 사용하다보면 Management Console로만으로는 부족한 기능이 많다.

그래서 AWS를 보다 세밀하게 사용하기 위해 CLI를 통해서 작업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있다.


1.준비물 : JAVA, AWS CLI(AWSCLI32.msi)

- java는 오라클 사이트 가서 알아서 받는다.

http://aws.amazon.com/ko/cli/에 가면 아래의 붉은색 표시된곳에서 각자의 환경에 맞게 설치한다.




2. 해당 파일을 다 설치한 후 Cmd 명령창에서 AWS를 입력할 경우 

    『응용프로그램의 Side by Side 구성이 잘못되어 응용프로그램을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를 만날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다음의 링크를 따라가서 해결하고 다시 여기로 온다. (http://cheezred.tistory.com/24)



3. 자 2번의 상태가 아니라면 또는 2번을 해결하고 난 뒤라면  Cmd 명령창에서 AWS를 입력할 경우 다음과 같은 메세지를 볼수 있다면 설치는 성공한 것이다.



4. 이제 본격적인(본격적이랄것도 없다) 환경설정을 한다.

- 아래 그림과 같이 aws configure 라고 입력할 경우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만날 수 있는데 빨간색 줄에 각 항목의 값을 입력해준다.

- Access Key, Secret Key, region, output format을 본인의 환경에 맞게 설정해준다.

Access Key, Secret Key는 Manager Console에서 생성 할 수 있다.




5. 기본적인 사용을 윙한 설정이 끝났다.


+ Recent posts